보도자료] 평창올림픽 수어통역 차별, 헌법 개정으로 풀어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 수어통역 차별,
헌법 개정으로 풀어야 한다.
일시: 2018. 3. 6(화) 오후3시 / 장소: 청와대 앞(효자동 삼거리 분수대 앞)
주관 단체: (가)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 연대단체: 연대단체 추가 중
1. 귀 언론과 단체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가)장애의 벽을 허무를 사람들(장애벽허물기)”은 ‘장애’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사회,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벽 허물기를 통하여 평등한 사회를 만들어나고자 구성하는 단체입니다.
3. 우리 단체는 지난 2월 9일(금)열렸던 평창통계올림픽 개회식(오후 8시~10시)과 관련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 차별진정을 제기한바 있습니다. 올림픽 개회식에서 현장의 공식수어통역사는 물론 전광판 수어통역을 제공하지 않았고, 지상파 3사의 중계방송에서 수어통역과 화면해설 제공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3. 우리 단체의 차별진정에 대하여 국가인권위원회는 2월 23일 평창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지상파 방송3사에 권고를 했습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누구나 다 즐길 수 권리가 있는 국제행사이므로 동계올림픽 폐막식은 물론 패럴림픽을 진행하면서 행사장 전광판과 방송 중계에 수어통역을 제공하라고 한 것입니다.
4. 하지만 2월 25일 치러진 폐막식에서 행사장의 전광판에 수어통역은 없었습니다. 지상파방송의 경우 KBS는 많은 내용을 수어통역 했지만 MBC, SBS는 행사 뒷부분의 IOC위원장 등 인사말만 수어통역을 하는 등 마지 면피성 수어통역을 진행했습니다.
5. 2015년 12월 한국수화언어법이 만들어졌음에도 국제행사에 이와 같이 수어통역을 하지 않으려는 것은 수어를 언어로 바라보지 않는 잘못된 인식의 때문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우리 단체는 수어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을 고쳐가는 방법으로서 헌법 개정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6. 이러한 취지를 이해하시어 많은 단체들의 지지와, 언론사의 적극적인 취재를 협조요청 드립니다.
- 기자회견 -
■제목 : 평창 동계올림픽 수어통역 차별, 헌법 개정으로 풀어야 한다.
■일시: 2018. 3. 6(화) 오후3시
■장소: 청와대 앞(효자동 삼거리 분수대 앞)
■주관 단체: (가)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연대단체: 연대단체 추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