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와 사회에 대한 신선한 관점, 건강한 생각을 제공합니다. 뉴스레터 51호 :: 2019.07.04(목) |
|
“모든 인종이 하나가 되는” 아름다운 사랑과 평화의 하나님 나라! U2가 믿고 바라보는 장차 임할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 비전은, 세상의 ‘마지막’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 땅에 이루실 ‘시작’에 관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학자 몰트만은 기독교 종말론은 ‘희망학’이라고 말했다. 즉, ‘종말’은 마지막 때에 일어날 사건들에 대한 예언 또는 묵시를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이미 시작된 선취적 사건이며, 파멸과 소멸의 끝(finis)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이며 목적(telos)이다.(본문 중) 윤영훈(성결대학교 신학부 교수, 『윤영훈의 명곡 묵상』 저자) |
|
현재까지 인간이 발견한 식물은 35만 종 정도 된다. 이렇게 다양한 식물을 과학적 분류법으로 분류해보면 그 다양함 속에 아름다운 질서가 들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즉, 식물에는 다양성과 통일성이 함께 있다. 풀이나 꽃, 나무 같은 각종 식물을 하나하나 관찰해 보면 그 안에 독특한 단순함, 대칭, 비례 등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이 존재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다양성과 통일성이 식물 안에서도 드러나는데 식물도 하나님의 창조물이니 당연한 말이다. 그 아름다움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고 더 나아가 하나님을 찬양하게 한다.(본문 중)
성영은(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
오산학교의 한 줄기와 충남 홍성의 작은 마을이 만나서 세워진 학교가 풀무학교입니다. 한국전쟁을 치른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58년에 세워진 풀무학교는 우리 사회의 근간이 될 평민을 기르고자 했습니다. 오산학교가 나라를 구하고자 했다면, 풀무학교는 ‘나라는 되찾았으나 전쟁의 폐허 속에서 혼돈에 빠진 우리 사회를 일으킬 건전한 시민을 기르는 일’을 무엇보다 중요한 사명으로 삼았습니다.(본문 중)
정승관(꿈틀리인생학교 교장, 전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원장) |
|
철학과 신학을 넘나들며 이 시대에 귀한 혜안을 주는 강영안 교수님의 강연입니다. 현재 미국 칼빈대학교에 교수로 계셔서 한국에서 쉽게 강의를 접하기 어려운 분입니다만 이번에 기윤실에서 펴고 있는 웹진 <좋은나무> 1주년을 맞아 강연회에 참여해 주셨습니다. 몇 가지 주제를 나누는 가운데 ‘Post-Truth’라는 주제를 가져오셨습니다. 미국에서도 정치계에 거짓뉴스가 난무하며 이러한 주제가 뜨겁다고 합니다. 정말 진실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한 걸까하는 생각들이 드는 것입니다. 실은 요즘 다수가 동의하면 진실이 되어지는 시대입니다. 절대적 진실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죠. 과연 이런 것이 옳은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성찰이 이어집니다. |
|
아래의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지인에게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좋은 건 함께 나눠보아요.? |
|
기윤실 <좋은나무>는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에 근거하여 교회와 사회를 조망하는 전문인의 글을 제공합니다. |
|
<좋은나무>는 이메일 뉴스레터, 카카오톡, 페이스북으로도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
|
(사)기독교윤리실천운동 cemk@hanmail.net, 02-794-6200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54길 30, 401호(세대빌딩)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