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영역

노들장애학궁리소 2017년 하반기 세미나(2)] 철학, 장애를 논하다 

뻬뻬로 2017. 8. 6. 15:49

노들장애학궁리소 2017년 하반기 세미나(2)]

 

 

철학장애를 논하다

 

 

  

흔히 이야기되는 것처럼 철학이 하나의 세계관이고 입장’(position)이라면혹은 이론 내에서의 계급[당파적투쟁이라면굳이 철학이라는 명시적 타이틀을 달지 않았다 하더라도 장애학을 실천해 왔던 활동가들과 학자들은 언제나 일정한 철학적 입장을 표현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또한 장애학이 발전해 오는 과정 속에서 특히 여성주의 철학자들윤리학자들탈근대주의 철학자들은 장애에 관해 이러 저러한 글들을 발표해 오기도 했습니다그러나 이번 세미나에서 함께 읽을 Arguing about Disability가 지닌 하나의 의의는철학자들이 모여철학이라는 이름을 걸고철학 전반의 시야에서 장애를 다룬 것으로서는 거의 최초의 단행본이라고 점입니다우리는 이 책에 실린 13편의 논문들을 재료 삼아서로가 지녀 왔던 기존의 생각들을 ‘argue for’(옹호)하기도 하고 ‘argue against’(반박)하기도 하면서 장애해방에 대한 입장을 벼려나가 보고자 합니다그렇게 벼려진 입장이 좀 더 풍성하면서도 예리해질 수 있도록여러분의 경험과 고민과 지혜를 함께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길잡이김도현(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 기간: 2017년 9월 7일부터매주 목요일 저녁 7시 30(11/2까지 전체 8, 10/5는 추석 연휴로 세미나 쉼)

○ 장소노들장애인야학 4층 들다방

○ 교재Arguing about Disability: Philosophical Perspectives (Kristjana Kristiansen, Simo Vehmas and Tom Shakespeare ed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8.)

 원서를 참고하나 길잡이의 번역으로 번역본이 제공됩니다.

 

❋ 신청

노들장애학궁리소 홈페이지에 오셔서 [철학장애를 논하다세미나 공지 게시물(http://goongree.net/seminar_announcements/3231)의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댓글로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 문의

기타 세미나와 관련된 문의는 이곳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고 혹시 급히 연락을 취하야 하는 경우는 김도현 연구활동가(070-4861-6656)에게 연락주세요.

 

<교재 소개>

 

 

[목 차]

 

서장장애학과 철학의 피할 수 없는 동맹 /시모 베흐마스크리스트야나 크리스티안센톰 셰익스피어

 

1부 형이상학

1_사회정의와 장애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경합하는 해석들 /스티븐 스미스

2_장애의 정의들윤리적 가치와 여타의 가치들 /스티븐 에드워즈

3_장애와 손상의 존재론자연적 특징과 사회적 특징에 대한 논의 /시모 베흐마스페카 마켈라

4_장애와 사고하는 몸 /재키 리치 스컬리

 

2부 정치철학

5_인격과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인정이론 접근법 /헤이키 이카헤이모

6_장애와 자유 /리처드 헐

7_장애재능 부재분배적 정의 /제롬 비켄바크

8_젠더장애개인적 정체성공동체적 사고에서의 도덕적정치적 문제들 /투이야 타칼라

 

3부 윤리학

9_인공와우언어권, ‘열려 있는 미래론 /패트릭 커밋

10_‘농배아’ 선택의 도덕적 경합성 /마티 헤이리

11_장애관련 법률의 형성에서 의료전문가의 역할 /린지 브라운

12_다운증후군에 대한 산전 선별검사왜 해서는 안 되는가? /베르게 솔베르그

13_생명정치와 벌거벗은 생명손상을 지닌 몸은 호모 사케르의 현대적 예인가? /도나 리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