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 도 / 자 / 료 | |
팝업통합놀이터 ‘함께, 오래’ 같이 놀자!!‘ 혜화동 마로니에 공원에서 5월 30일(오후1시부터)에 만나요!!! | |
(사)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세이브더칠드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재단법인 동천, 사단법인 두루, 희망을 만드는 법, 걷고싶은 도시만들기시민연대 | |
수신처: 각 언론사 및 장애인단체, 사회인권단체 | 배포일자: 2019. 5. 23 |
(경 유): | 보도일자: 2019. 5. 23 |
담당자: 박미애 활동가 (010-4026-3259) | 페이지: 5p |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주소: (우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5층 508호 전화: 02)732-3420/ 전송: 02)6008-5115 / www.ddask.net / ddask420@naver.com |
“함께 놀자!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간” ‘통합놀이터’란 어떤 아동도 장애유무로 차별받지 않고, 놀 권리를 동등하게 실현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개막식> 일시 : 2019년 5월 30일(목) 오후 1시 장소 : 마로니에공원 야외공연장 순서 - 개막 공연 : 성미산학교 합창단 - 여는인사 : 김미연(유엔장애인권리위원) - 유엔아동권리협약 낭독 : 장애아동과 비장애동 함께 - 개막선언 : 이형숙(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장) |
1. 장애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하는 귀 기관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1989년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을 단순히 보호대상이 아닌 존엄성과 권리를 지닌 주체로 보고, 「제31조에 아동의 놀 권리 (“어린이는 충분히 쉬고 충분히 놀아야 한다”)」를 보장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이에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를 비롯한 장애인단체와 아동단체 그리고 관련법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변호사단체 등 8개 단체는 모두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공간에 대하여 함께 경험해보고 그 경험을 통해 다양한 놀이터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놀이의 자리를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4. 처음 모두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의 고민을 시작할 당시 성악가 조수미씨가 특수학교와 복지관 등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도 탈 수 있는 그네(이하 휠체어 그네)를 기증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관련법은 기존에 놀이기구의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놀이기구를 설치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결국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사람도 이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는 법적으로 설치와 이용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조수미씨가 어렵게 기증한 휠체어그네도 철거와 재설치를 반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5. 아동의 놀 권리, 그리고 그 권리 안에서 장애아동도 차별받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 진정 법이 해야 할 역할이지만, 지금 우리의 법과 환경은 오히려 그 권리를 침해하고 제한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6. 이에 장애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놀이터에 대한 접근과 놀이시설의 이용, 놀이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담아 모두에게 접근이 가능한 다양한 놀이터에서 함께 놀아보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7. 현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는 휠체어그네가 있는 작은 놀이터가 있습니다. 이번 통합놀이터는 이 작은 놀이터를 중심으로 8가지 팝업놀이터를 만들고 다양한 체험과 놀이를 함께 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공연과 먹거리 등 부대행사를 통해 누구나 즐겁고 행복한 자리로 만들고자 합니다.
7.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뛰어놀아야 할 놀이공간은 아이들이 다양한 놀이기구를 체험하고 다양한 다름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져야합니다. 그리고 오늘 이 행사는 앞으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놀이터를 보여주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6. 모든 아이들이 행복한 놀이터를 위하여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함께 오셔서 즐겁게 놀아주세요.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권위의 장애인 한국영화권 의견표명을 환영하며, 관련 법률의 개정을 촉구한다. (0) | 2019.05.27 |
---|---|
보도자료] 경기도장애인권익옹호기관 토론회 성료 (0) | 2019.05.24 |
카드뉴스] 탈시설 이후 10년의 이야기#5. 주기옥의 이야기 (0) | 2019.05.23 |
카드뉴스] 탈시설 이후 10년의 이야기#4. 방상연의 이야기 (0) | 2019.05.20 |
카드뉴스] 탈시설 이후 10년의 이야기#3. 하상윤의 이야기 (0) | 2019.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