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자료
|
| ||
서울 금천구 벚꽃로 244, 1205호(벽산디지털밸리5차) /전화 02)6951-1790 /팩스 02)6951-1799 / 메일 naapd8295@naapd.or.kr /홈페이지 www.naapd.or.kr | |||
수 신 | 각 언론사 | 배포일자 | 2019년 10월 7일(월) |
담 당 | 김현정 대리 | 페이지 | 2매 |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11에 따라 설치된 기관으로 장애인학대의 예방, 피해자 지원, 사후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학대신고 1644-8295) | |||
'장애인학대 신고와 예방' 소책자 배포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기관장 은종군)과 보건복지부는 장애인학대 신고의무자 대상 교육 자료인 ‘장애인학대 신고와 예방’ 소책자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장애인학대 신고의무자는 직무상 장애인학대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의료기관 종사자, 교육기관 종사자, 상담소 및 보호시설 종사자 등 21개 직군이 해당된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신고의무자는 장애인학대를 발견하거나 알게 된 경우 지체 없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혹은 수사기관에 신고하여야 한다.
최근 발표된 ‘2018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장애인학대의심사례 1,835건 중 신고의무자의 신고는 43.7%(802건)로 나타났다. 신고의무자에 의한 신고를 살펴보면,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에 의한 신고가 52.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신고 3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인 당사자 본인에 의한 신고는 전체 신고자 중 10.6%였으며, 발달장애인 피해자 중 본인에 의한 신고는 2.9%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학대신고에 있어 신고의무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장애인학대 예방에 신고의무자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번에 배포하는‘장애인학대 신고와 예방’소책자를 통해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의료기관 종사자, 교육기관 종사자, 상담소 및 보호시설 종사자 등 신고의무자에게 장애인학대에 대한 관심을 높여 장애인학대신고(1644-8295)를 활성화 하고자 한다.
‘장애인학대 신고와 예방’은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누리집(www.naapd.or.kr) 정보-홍보자료에서 누구나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다.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은종군 관장은 “장애인학대 피해자 본인의 신고율은 매우 낮은 편이다. 그렇기에 장애인학대신고에서 신고의무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신고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장애인학대의 예방과 신고활성화를 위해 소책자, 영상, 포스터, PPT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개발하여 배포하였으며,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로 장애인학대예방에 힘쓰고 있다. 2019. 10. 7.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
T 02-6951-1790 / F 02-6951-1799 / M naapd8295@naapd.or.kr
A (08513) 서울 금천구 벚꽃로 244 1205호(가산동, 벽산디지털밸리 5차)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을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는 대한민국, 장애인권리협약 이행으로 바꿔야 한다. (0) | 2019.10.08 |
---|---|
경기도장애인권익옹호기관 9월 뉴스레터 (0) | 2019.10.08 |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도 수어통역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0) | 2019.10.04 |
보도]이런건처음이라_장애인문화예술판_장애예술연기워크샵무료발표회 (0) | 2019.10.04 |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에 대한 이해와 사례」 (0) | 2019.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