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1부 접속]
1장 장애학, 지금 여기의 콜라보 미션
1. 장애학, 왜 필요한가
2. 장애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2장 ‘손상’은 어떻게 ‘장애’가 되는가
1. 장애인이라는 범주를 의심하다
2.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된다
3. 장애 문제는 장애인의 문제가 아니다
[2부 성찰]
3장 우생학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1. 20세기 전반기를 휩쓴 우생학의 실체
2. 우생학, 새로운 간판을 내걸다
3. 우생학 파는 사회: 뒷문으로 이루어지는 우생학
4장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해방인가 또 다른 차별인가
1. 차별과 위계를 정당화하는 인간중심주의
2.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여전한 위계와 서열
3.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다
4. 에필로그: 철학(자)의 악몽
5장 장애인에게 정의란 무엇인가
: 장애 정치의 시선으로 프레이저의 정의론 읽기
1. 우리에게는 ‘분배’와 ‘인정’ 양자가 필요하다
2. 정체성 모델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3. 장애인, 참여에서 배제당하는 자
4. 인권의 정치, 정의의 경계를 다시 묻다
[3부 전환]
6장 당사자주의의 환상을 넘어 횡단의 정치로
: 장애인 당사자주의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1. 장애인 당사자주의란 무엇인가
2. 당신의 해방과 나의 해방은 따로 떨어져 있는가
3. 횡단의 정치: 뿌리내리고 또 옮기기
4. 당사자주의는 운동의 ‘이념’이 아니다
[보론] 정체성, 해체할 것인가 횡단할 것인가
7장 자립과 의존의 이분법을 넘어 공생의 세계로
1. 정립: 부정한 몸들을 ‘수선’하다
2. 자립: 그 가능성과 함정
3. 연립: 홀로서기도 의존도 아닌, 함께 서기
[4부 도전]
8장 자기결정권, 나와 너 ‘사이’의 권리
: 연립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기결정권
1. 능력에 따라 누리는 것은 권리가 아니다
2. 자기결정권, 혼자서 결정한 대로 할 수 있는 권리?
3. 자기결정권은 사회권이다
4. 누가 성년후견제도를 말하는가?
9장 모두를 위한 노동사회를 향해
1. 불인정 노동자로서의 장애인
2. 왜 이것은 노동이 아니란 말인가?
3.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정투쟁
4. 노동시장을 넘어 공공시민노동 체제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살펴보러 가기]
☞ 알라딘
☞ Yes24
☞ 교보문고
☞ 인터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