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영역

수어통역, 화면해설 없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올림픽조직위와 방송사, 정부는 각성하라!!

뻬뻬로 2018. 2. 20. 15:24

수어통역화면해설 없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올림픽조직위와 방송사정부는 각성하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진행 중인 평창 동계올림픽은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국제 스포츠행사이다여기에 남북한 단일팀 구성 등 대북 이슈가 겹치면서 이번 동계올림픽은 어느 때보다 전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다.

문제는 전 세계인의 축제인 평창 동계올림픽을 국내의 장애인들이 즐기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 2월 9(평창통계올림픽 개회식(오후 8~10)장에서 수어통역이 없었다개회식에 참석을 했던 청각장애인들이 답답한 마음을 참으며 행사를 관람해야 했다.

개회식을 중계방송 한 행사주관 방송에서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통역을 거의 하지 않았다. KBS에서 IOC위원장의 연설 등 몇 장면에 수어통역을 한 것이 전부다. MBC나 SBS는 이마져도 없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도 마찬가지였다방송사마다 관계자들이 출연하여 개회식을 해설하였다하지만 해설자들도 누가 나왔다.” 정도의 최소한의 정보만 설명을 하여 시각장애인들이 행사의 장면을 이해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했다.

그러다보니 매 경기마다 진행되는 시상식이나 방송에서 방영되는 주요경기 장면에 수어통역이나 화면해설을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 되어버렸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국제적인 행사인 만큼 장애인들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청각시각장애들도 올림픽 행사나 경기를 재대로 볼 수 있도록 행사 현장만이 아니라 방송에서 정당한편의(수어통역화면해설자막안내 등)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장애인의 권리가 지켜질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법”, 방송법”, “한국수화언어법에 의하여 올림픽조직위원회와 행사를 중계하는 방송사업자에게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도록 요구해야 한다.

하지만 행사를 준비한 올림픽조직위원회나 방송사정부가 자신들의 행하여야 할 책무를 방관하여 결국 장애인들이 차별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하여 우리 단체(“장애별허물기”)는 지난 2월 13()과 19(두 차례에 걸쳐서 올림픽조직위원회와 지상파방송사,정부기관을 국가인권위원회에 차별진정을 하였다이러한 차별을 그대로 두면 관행이 될 수 있고차별이 재생산되는 등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림픽행사가 거의 막바지에 와 있다하지만 남아 있는 일정들도 있다동계올림픽 폐막식과 패럴림픽 개회식과 폐회식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남아 있는 기간에 장애인들이 더 이상 차별받지 않도록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방송사들은 노력을 해야 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도 남아 있는 행사에서 장애인들이 차별을 받지 않도록 점검을 하여야 한다더 나아가 국제행사 등 대규모 행사가 진행될 때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 제공이 의무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 제공이 행사의 운영 내용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관련 근거(운영지침조례 등)를 만들어가야 한다.

올림픽의 정신은 화합과 상생평등과 평화라고 알려져 있다이러한 올림픽 정신이 장애인들에게도 적용이 되어 남아 있는 행사들을 장애인도 즐길 수 있도록 하루 빨리 조치들이 취해져야 한다이를 통하여 평창 동계올림픽이 진정한 인류의 축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사 올림픽조직위원회와 방송사정부에 촉구한다.

2018년 2월 20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