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영역

궁리소 2018하반기 강좌] 근본 없는 장애학: 탈식민적-초국가적 저항과 연대

뻬뻬로 2018. 8. 16. 13:43

노들장애학궁리소가 야심차게 준비한그래서 강력하게 추천드리는 2018년 하반기 강좌!

이번 기회를 놓치시면 언제 또 들을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는 강의이니신청을 서둘러 주세요.^^~*

---------------

[노들장애학궁리소 2018년 하반기 강좌]   


 

근본 없는 장애학탈식민적-초국가적 저항과 연대



 

(※ 상기 이미지는 김은정 선생님의 저서 Curative Violence의 표지 중 일부입니다.)



이 강좌는 서구 장애학에 존재하는 경계와 숨겨진 전제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합니다북미의 식민주의에 반대하는 장애학 이론흑인 여성주의 교차성 이론과 장애 정의(disability justice) 운동의 원칙을 검토할 것입니다그리고 인종/성별계급종교국적으로 생겨나는 위계와 장애를 어떻게 교차적으로 접근할 것인지 함께 모색하고자 합니다북미와 한국 내 진보적 사회운동이 건강장애질병에 접근해 온 방식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어떻게 장애운동과 연대할 수 있는지도 다룰 것 입니다나아가 제국주의군사주의개발국제분쟁에 개입하는 탈식민 여성주의 장애이론을 함께 만들기 위한 질문을 던지고 다양한 정체성을 아우르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 강사김은정

○ 개강: 2018년 9월 6

○ 일시매주 목요일 저녁 7

○ 장소노들장애인야학 4층 교육장

○ 강좌 회비: 8만원(총 4)

   

❋ 신청

노들장애학궁리소 홈페이지에 오셔서 [근본 없는 장애학탈식민적-초국가적 저항과 연대강좌 공지 게시물(http://goongree.net/lecture_announcements/17066)의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비밀글 기능을 이용해 댓글로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 문의

기타 강의와 관련된 문의는 이곳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고 혹시 급히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는 김도현 연구활동가(070-4861-6656)에게 연락 주세요. 


❋ 주별 강의 계획

[1(9/6)] 장애의 시간장애의 공간

서로 얽혀있는 다양한 억압의 체계가 국가주의제국주의정상성건강이라는 이름으로 장애를 어떻게 규율하는지장애가 어떤 방식으로 특정 시간과 공간에서 배제되거나 선택적으로 포섭되는지 그 과정을 살펴봅니다이를 위해서 장애의 정치성과 미래성에 주목한 앨리슨 케이퍼(Alison Kafer)가 Feminist, Queer, Crip(Indiana University Press, 2013)에서 제출한 이론과 분석을 소개합니다.

[2(9/13)] 감금의 정치와 교차성장애와 질병의 범죄화그리고 인종주의

미국 흑인 여성주의 이론으로 등장한 교차성이 장애와 만나는 지점노예 제도정착민 식민주의미국-이스라엘 연합장애운동 내 인종차별교도시설-산업복합체의 문제를 다루고미국 흑인 장애인의 역사에 대해서 소개합니다또한 The Right to Maim: Debility, Capacity, Disability(Duke University Press, 2017)라는 저서에서 자유주의에 기반한 장애인권 운동을 비판하고 있는 자스비어 K. 푸아(Jasbir K. Puar)의 주장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3(9/20)] 경계의 횡단과 장애피해자 정체성과 하위제국으로서의 한국

이진경이 서비스 이코노미(나병철 옮김소명출판, 2015)에서 주장한 하위제국의 개념에 기반하여,정상성과 비정상성성별 범주성규범국가라는 경계를 넘는 주체의 주변성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구성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더 나아가 폭력과 착취로 인한 피해와 죽음을 생산해 내는 한국에서 초국가주의적 장애이론을 모색하기 위한 질문을 던집니다.

[4(9/27)] 퀴어 탈인본주의와 일상의 장애학 실험실

능력을 통해 정의되고 배제를 통해 권력을 갖는 인간이라는 범주와 인권은 과연 소수자를 포용하도록 변화할 수 있을까요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사이보그 이론을 재조명하고 비인간 존재의 연대를 사회변혁의 출발점으로 보는 퀴어 탈인본주의이론을 살펴봅니다영화담론시각 이미지,청각 이미지와 같은 문화 텍스트를 강좌 참여자들이 수집하고 이를 공동으로 분석해 봄으로써환경,폐기물동식물고통노화죽음섭식장애질병일상을 정치 담론으로 만드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합니다.

 


❋ 강사 소개

김은정미국 시라큐스대학교 여성/젠더학 및 장애학 프로그램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탈식민적-초국가적 장애여성주의 이론한국 근현대 장애문화사영화 분석퀴어 장애이론무성애취약성국제원조 미디어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으며미국여성학회 앨리슨 피프마이어상 2017년 수상작인 Curative Violence: Rehabilitating Disability, Gender, and Sexuality in Modern Korea(Duke University Press, 2017)의 저자이다장애여성 운동의 참여자로 장애여성공감의 오랜 회원이며거부당한 몸(그린비, 2013)을 공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