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의 ‘장애감수성’은? #2 평소 자주 쓰는 말을 통해 알아 볼까요? #3 장애우 #4 × #5 ‘장애인’이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장애우의 ‘우’는 실제 친구관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모든 장애인을 관계와 상관없이 ‘친구’로 지칭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6 일반인 정상인 #7 × #8 ‘비장애인’이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장애인을 비정상 혹은 일반적이지 않은 특수한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은 장애에 대한 편견이 바탕이 된 잘못된 표현입니다. #9 장애를 앓고 있는 #10 × #11 ‘장애가 있는’ 이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장애는 고칠 수 있는 ‘병’이 아닙니다. 장애는 여성, 청소년, 성소수자 등 다양한 정체성 중 하나입니다 #12 지적능력이 떨어지는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한 #13 × #14 장애인을 무능력한 존재로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지적 능력이 떨어져서 선거 공보물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라 선거 공보물을 모두가 이해하기 쉽게 만들면 됩니다. #15 장애를 극복한 장애를 딛고 #16 × #17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 아닙니다. 비장애인 중심의 기준에 맞춰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다양한 속도와 방식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8 장애인을 배려하는 #19 × #20 배려는 ‘인권’의 언어가 아닙니다. 장애인은 특별히 제공하는 혜택, 배려의 대상이 아니라 동등한 시민으로서 권리의 ‘주체’입니다. #21 나의 ‘장애감수성’이 올라가셨나요? #22 내가 무심코 사용하는 단어 하나 바꾸는 작은 힘! 우리 사회의 잘못된 편견을 바꾸는 큰 힘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사단법인 장애여성공감 부설 장애여성성폭력상담소 상 담) 02-3013-1367 사 무) 02-3013-1399 팩 스) 02-6008-2384 홈페이지) http://www.wde.or.kr/ 장애여성공감 후원하러가기 |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문화예술판_전혀다른새로운공연_엄마라는이름으로 (0) | 2018.09.20 |
---|---|
미국,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먼저 고민하고 지원한다 (0) | 2018.09.20 |
한가위에도 장애인학대신고는 1644-8295 (0) | 2018.09.20 |
보도자료] 고속버스 시승식 및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정책 공동발표 "같이, 탑시다!" (0) | 2018.09.18 |
보도자료]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2019년 장애인생존권예산확보! 대구시립희망원문제 해결! 추석연휴 서울역 농성 투쟁 선포 기자회견 (0) | 2018.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