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11월 카드뉴스
[즉각적인 현장출동 '벅차']가 발행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www.naapd.or.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NAAPD8295/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I6VqGhbNz1gg8uf5D_gpw?view_as=subscriber
#1.
끊이지 않는 장애인학대전담기관인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당일 현장 출동 “벅차”
알기쉬운 장애인학대 9편
#2.
2018년 1월부터 9월까지 전국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신고접수는 2,833건
장애인학대의심사례는 1,438건
상담 및 지원횟수는 12,267건
#3.
직원 A씨: 제가 몸이 두개였으면 좋겠어요.
당장 현장에 가야하는데 늦어지고 있어요.
기자: 뭐가 문제인가요?
#4.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 당 직원 4명
상담원, 단 2명
상담 및 지원은 계속적으로 증가
장애인학대사건 발생 즉시 지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
#5.
학대조사, 응급조치 등의 지원이 늦어지면 피해자들은 2차 피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추가적인 폭행, 협박을 당하거나 피해자를 다른 곳에 보내버릴 수도 있습니다.
#6.
현장조사는 2인1조로 나가야 하는데 사람이 없어서 현장조사에 혼자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런 경우, 학대 행위사로부터 생명에 위협을 받는 등 각종 위험에 더욱 노출되죠.
#7.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 당 직원 4명, 기관수 17개
지역 노인보호전문기관 당 직원 9명, 기관수 31개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당 직원 17명 기관수 62개
※ 보건복지부 연구(2016)에 따르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운영 필수 인력은 14명
#8.
우선 신고가 들어왔을 때 당장 현장에 출동할 수 있게 최소 2명의 상담원 추우언이 절실합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직원 A씨
#9.
기자: 조사과정에서 사람들의 민감정보는 관리가 잘되고 있나요?
직원A씨: 그게.. 아직 정보화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서 제 PC에 보관하고 있어요.
혹시나 자료가 유출될까 너무 걱정됩니다.
#10.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내년 예산(안)은 19억 4천 6백만원입니다.
많아보이지만,기관 당 9천 7백만원(국고기준) 입니다.
직원 4명의 인건비, 사무실 임차료 등 운영비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정보화를 위한 예산은 0원입니다.
#11.
전국 17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상담원 2인 추가 배치와
정보화 구축 등 운영 정상화를 위한 총 59억 5천 9백만원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12.
장애인학대신고
1644-8295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T 02-6951-1790 / F 02-6951-1799 / M naapd8295@naapd.or.kr
A (08513) 서울 금천구 벚꽃로 244 1205호(가산동, 벽산디지털밸리 5차)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장애인 분야 디딤돌 걸림돌 판결, 공익소송 보고회 열려 (0) | 2018.11.12 |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0) | 2018.11.12 |
보도자료] 2018 실천연구대회 ‘장애인, 일상의 삶을 살다’ 개최 새창으로 읽기 (0) | 2018.11.08 |
2018 AAC 아카데미 의사소통캠프 신청 (0) | 2018.11.08 |
보도자료] 장애인 분야 디딤돌 걸림돌 판결, 공익소송 보고회 열려 (0) | 201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