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12월 카드뉴스
[아직, 끝나지 않았다]가 발행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www.naapd.or.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NAAPD8295/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I6VqGhbNz1gg8uf5D_gpw?view_as=subscriber
#1.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8년 복기하며...
#2. 봄
핵심 키워드
‘노예 사건’으로 알려진 장애인 노동력 착취 사건
‘현대판 노예’ 3명, 하루 13시간 중노동, 위생도 엉망_국민일보
‘그것이 알고싶다’ 신안 염전노예사건 비극은 끝나지 않았다_뉴스엔
지적장애인 6년간 일 시키고 1억여원 떼먹은 식당주인 구속_연합뉴스
지적장애인 5년간 학대한 식당업주, 임금도 착취_충청투데이
8년간 바다서 일하고 임금 한 푼 못 받은 50대 지적장애인_연합뉴스
#3. [대부분 지적장애인] [임금 미지급] [단순 노동 _ 장시간 근로] [열악한 환경에 방치]
장애인 노동력 착취 사건에서는 피해자 본인이 신고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주변의 관심과 신고가 꼭 필요
#4.여름
핵심 키워드
갖가지 유형의 장애인 학대
특수학교 성폭행 의혹 “추가피해 확인” 교사 무자격 논란까지_연합뉴스
지적 장애 여성 성폭력 피해 폭로 ‘충격’_G1뉴스
장애인을 전기파리채로 충격한 사회복지사 실형_연합뉴스
지적장애인 유인, 감금...휴태폰 개통해 물품사기 벌인 20대 구속_헤럴드경제
장애인복지관 치료사가 5살 자폐증 여아 학대 정황, 경찰 수사 착수_연합뉴스
구청 도우미가 지적장애 1급 남성 폭행_연합뉴스
#5. 이럴 때 신고하세요!(장애인학대 유형)
장애인을 때릴 때
장애인에게 욕을 하거나 무서운 말을 하여 괴롭힐 때
장애인이 싫어하는데 억지로 몸을 만질 때(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돈을 빼앗거나 일을 시키고 돈을 주지 않을 때
장애인을 보호해야 하는 사람이 식사를 안주거나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을 떄
장애인을 보호해야 하는 사람이 보호하지 않고 버렸을 때
#6. 가을
핵심 키워드
특수학교 장애학생 학대
‘장애학생 폭행’ 서울 인강학교, 설립재단도 문제투성이_더팩트
또 특수학교서 교사가 장애학생 폭행...경찰, 교육청 “조사중”_한겨레신문
특수학교서 또 폭행...“교사가 9살 장애아 목 졸랐다”_KBS
장애아동 어린이집 학대 의혹 “곰팡이, 벌레 가득한 실내... 눈물 차올라”_서울경제
#7.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장애인학대예방 교육 실시
장애인학대 상담 및 신고 필요
장애인학대 상담 및 신고 1644-8295
#8. 겨울
핵심 키워드
장애인 성적 학대
서산 지적장애인 모녀, ‘마을 주민들에게 성폭행 당했다’ 신고_중도일보
‘10대 지적장애인 성폭행’ 피해 20대 둘 무혐의 처리 논란_연합뉴스
후견인이라면서... 지적장애인 수십년간 성폭행한 마을 이장_중앙일보
특수학교 교사 수년간 제자들 성폭행 의혹...경찰수사_연합뉴스
같은 마을 사는 지적장애 여성 상습 성폭행한 7명의 노인들_경향신문
#9. 전국 장애인 267만여명 중 13만 6천여명이 성적학대를 경험
대처방법
주위에 도움을 요청함 2.7%
그 자리에서 항의함 21.7%
진정‧고발 등의 조치를 취함 17.4%
그냥 있었음 16%,
자리를 피하거나 도망침 23.9%
몰라서 그냥 넘어감 17.6%
→성적 학대를 경험한 장애인의 58%가 적극적 대응하지 못함
_ 장애인실태조사(2017) 보건복지부
#10.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설치되어 학대 받은 장애인을 지원합니다!
Q 장애인학대신고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
신고내용을 확인합니다.
조사를 합니다
피해자를 도와줍니다
잘지내는지 확인합니다
#11. 장애인학대신고,
유캔두
야너두 신고할 수 있어
장애인학대 상담 및 신고 [1644-8295] 가까운 지역장애인권익옹호기관으로 연결됩니다.
#12.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보건복지부
T 02-6951-1790 / F 02-6951-1799 / M naapd8295@naapd.or.kr
A (08513) 서울 금천구 벚꽃로 244 1205호(가산동, 벽산디지털밸리 5차)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형제복지원 농성 400일-긴급토론회..... "진실과 정의를 향한 과거청산, 이제 다시 시작이다!! (0) | 2018.12.10 |
---|---|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의 삶을 말하다 (0) | 2018.12.10 |
보도자료] '형법 제11조 농아자 필요적감경 조항의 재조명과 발전적 개선방향' 심포지엄 개최 (0) | 2018.12.06 |
한국척수장애인협회] 2018 하반기 뉴스레터 (0) | 2018.12.06 |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 11월의 소식 (0) | 201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