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선감학원; 강제수용 등 인권침해 진상규명과 대책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 - 강제수용으로 뒤틀린 선감학원 생존자들의 삶과 국가책임 -
1. 공정보도를 향한 귀 언론사의 노력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 9. 19(목)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는 일제강점기 ‘국가에 의한 강제수용 ’으로 알려진 선감학원 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한 것에 이어, 피해생존자들의 증언을 듣고 국가와 사회가 어떤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인지 논의하는 자리를 갖습니다. 3. 최근 일본은 일제 식민지 시대 조선인의 강제동원과 위안부 문제의 역사를 부정하면서 경제보복이란 형태로 표면화시켰고, 한국 사회는 납득할 수 없는 일본의 행태에 불매운동 등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자각과 깨어있는 실천적 행동은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4.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대해 “대단히 솔직하지 못한 태도”라며 “과거를 기억하고 성찰한다는 것은 끝이 없는 일이며, 과거를 기억하고 성찰할 때 거듭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5. 이 말은 우리를 향한 것이기도 합니다. 어둡고 슬프고, 부끄러운 과거사는 우리 대한민국에도 존재합니다. 제주 4.3사건, 5.18 민주화운동,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 그리고 국가에 의해 가난하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배제되고 감금되었던 ‘수용소에 갇힌 사람들의 역사’입니다. 6. 선감학원은 경기도 안산 제부도 옆의 작은 선감도라는 섬에 위치했으며, 1942년 일제가 만들었지만 해방 이후에는 1982년 경기도가 직접 운영을 했던 부랑아 수용소였습니다. 7. 퇴원아 명부에는 ‘수집, 수거’라고 표현되며 잡혀온 이들이 3,961명이나 됩니다. 피해생존자들은 ‘부랑인’이라는 낙인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수용소에서 수용소로 전전하는 삶을 살아왔습니다. 문재인정부의 공약인 ‘포괄적 과거청산’에 한껏 부풀어 낙인의 쇠사슬에서 벗어나 빼앗겼던 시민으로서의 권리회복을 꿈꿔왔습니다. 8. 하지만 20대 국회에 계류 중인 ‘진실화해를 위한과거사정리기본법’ 개정안은 지난 7월 말 국회 행안위 법안심사소위를 간신히 통과했지만 또다시 자유한국당의 ‘안건조정심사’신청으로 무산되었고, 급기야 권미혁의원(더불어민주당)과 선감학원 피해생존자분들은 특별법 발의로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말하고 있습니다. 7. 이번 토론회는 피해생존자들의 증언과 이것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비롯해, 경청과 공감을 뛰어넘어 진실규명을 위한 사회 전체의 성찰과 책임을 묻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많은 취재바랍니다. ------------------------------------------------------------------------------
‘선감학원’_ 강제 수용 등 인권침해 진상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 강제수용으로 뒤틀린 선감학원 생존자들의 삶과 국가책임 - ▣ 일시: 2019. 9. 19(목) 오후 2시 ▣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 주최: 권미혁의원(더불어민주당) ▣ 공동주관: 경기도선감학원아동피해대책협의회,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49통일평화재단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http://www.footact.org |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명서]공영방송 KBS에 대한 규탄 -장애인방송 홀대하는 KBS가 공영방송인가 (0) | 2019.09.20 |
---|---|
UNCRPD NGO연대 NGO보고서 1차 초안 발표 (0) | 2019.09.18 |
청각장애인 등 난청인들의 교통시설과 교통수단의 접근환경 개선을 기대한다. (0) | 2019.09.18 |
박인숙 의원의 "조국은 정신병 환자" 발언, 사과하라!! (0) | 2019.09.17 |
보도자료]올해도 추석에 고속시외버스 타고 고향 못 가는 장애인들의 기자회견 (0) | 2019.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