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미래 #공론장 #서마을 #커뮤니티 #토닥 #툴킷
기술은 어떤 미래를 꿈꾸는가
기술의 영향력을 거부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한 때에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기술을 바라보고 접근해야 하는지, 빠띠의 민주주의와 기술 철학이 담긴 글로 '민주주의 리포트'를 엽니다. 이제는 기술이 다수를 위해 활용되도록, 기술을 함께 소유하고 기술에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민주주의와 함께 기술이 발전하기 위한 6가지 원칙 -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사용하는 기술 개발
- 정부, 기업의 데이터 개방과 공유
- 모두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제작
- 플랫폼 운영과 소유에 이해관계자 참여
- 기술의 작동 원리를 투명하게 공개, 주요 정책 함께 결정
- 기술 이해와 비판 역량 교육
* 권오현 활동가(설립자)의 이노소셜랩 기고 글입니다.
|
|
일상의 민주주의 빠띠,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나요? 서울시 마을공동체 뉴스레터 <서울마을이야기> 공론장팀 인터뷰
앞으로 공론장 팀은 보다 민주적인 소통과 협업을 원하는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조직, 시민사회단체 등 여러 조직과 협업을 강화하려고 합니다. 그간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툴킷, 플랫폼으로 공론장 기획부터 교육, 네트워크까지 다양하게 여러분을 만나나고 있어요. 더 많은 시민과 함께 토론하고 결정할 수 있는 공론장 플랫폼 '빠띠 믹스' 오픈을 준비하고 있는 공론장팀의 활약을 앞으로도 기대해주세요.
|
|
공론장 활동가들이 커뮤니티로 모인다면?
'우리가 하는 일(공론장)이 어떤 변화를 만들고 있는가'란 주제로 첫 모임을 한 공론장 활동가 커뮤니티. '결론이 안나도 되는 공론장, 결론은 나는 공론장, 결론도 나고 변화를 만들어 내는 공론장'같은 분류가 나올 수 있다는 재미있는 논의도 나눴어요.
다음 모임을 놓치지 않으시려면,
|
|
모일순 없어도 함께 결정하는 방법 청년 자조 금융 단체 '청년연대은행 토닥'의 온라인 총회 도전기
'청년연대은행 토닥'에서 어떻게 온라인 총회를 진행했는지 사무국장 장지희 님을 만나 이야기 들어봤어요. "빠띠 그룹스로 총회를 여니 실무에 드는 에너지가 많이 줄었어요. 비용도 하나도 안 들었네요. 공간 대관, 다과 준비, 발표자료 제작 같은 일이 없었으니까요. ... 제가 안건 게시물을 올리고, 댓글로 질문이 올라오면 임시 위원들이 답변하면서 함께 진행했어요."
|
|
커뮤니티 툴킷 제작기 완결
더 많은 개인과 조직이 커뮤니티를 만들고 지속하는데 돕기 위한 커뮤니티팀의 '오픈소스형 커뮤니티 툴킷' 제작 비하인드를 살펴보세요.
|
|
사회적협동조합 빠띠(Parti Co-op) 협업문의 contact@parti.coop 서울시 서대문구 수색로 43(남가좌동)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2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