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련은 매년 서울시 소재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법률’에 근거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금년 대상시설은 주민센터 이며 현장 조사는 3월 2일부터 6월 20일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총 6,879개의 조사 항목 중 올바르게 설치된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은 단 24.4%에 불과하며, 부적정 하게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은 75.6%로 조사되어 시각장애인이 독립적인 시설 이용과 접근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시설 항목별 설치현황을 보면 비치용품(점자업무안내책자, 8배율확대경)의 적정설치율은 3.3%로 가장 열악했으며, 다음으로 위생시설(10.0%), 안내시설(15.3%), 내부시설(30.7%), 매개시설(40.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의시설이 부적정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항목은 비치용품(96.7%), 위생시설(90.0%), 안내시설(84.7%), 매개시설(59.8%), 내부시설(69.2%) 순으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주민센터 이용시 시각장애인이 상당히 불편을 겪고 있어 빠른 시정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구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적정설치율은 중랑구 주민센터의 적정설치율이 18.2%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천구 주민센터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미설치율이 49.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강북구 주민센터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은 설치는 되어있지만 부적정하게 설치된 비율이 52.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 설치된 중요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중 부적정하게 설치된 편의시설은 22.3%의 세부현황을 보면 점자블록의 경우 재질 및 규격이 올바르지 않은 것이 54.2%, 점자표지판의 경우는 표기 내용이 틀린 것이 76.7%, 점자안내판 또는 음성안내장치의 경우 설치위치가 잘못된 것이 40.4%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재 424개 주민센터에 시각장애인이 사용가능한 적정 설치된 편의시설은 2010년 31.8%, 2013년 12.7%, 2017년 24.4%로 조사되어 결과적으로 시각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편의시설이 매우 부족하고 나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매년 모니터링을 통해 시정요청을 하고 있음에도 적정설치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자체와 시설운영기관의 작은 관심과 예산의 소액 투자만으로도 시각장애인의 삶에 큰 변화를 도모할 수 있고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개선을 위해서라도 지자체와 시설운영기관의 지원과 노력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시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편의를 보장하고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지자체와 시설운영기관의 적극적인 대처가 촉구되는 바이다. 조사에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bufac.or.kr 또는 한시련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02-799-1022)에 문의 하면 된다. 2017. 7. 2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7-13 이룸센터 6층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전략사업팀 02) 799-1043 |
'장애인 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입니다. 서울시 중증언어장애인 의사소통권리지원사업의 참가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0) | 2017.07.25 |
---|---|
보도자료]서울구치소 내 반인권 처우 규탄 및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장애인권운동 벌금탄압 규탄 노역투쟁 보고 기자회견 (0) | 2017.07.22 |
보도요청]성명서_문재인정부 국정과제에 대한 성명 및 대정부요구_201070719 (0) | 2017.07.19 |
장애인권운동가 박옥순 이경호 이형숙 벌금탄압 규탄 노역투쟁 1일차 (0) | 2017.07.19 |
보도자료]장애인권운동가 벌금모금 및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장애인수용시설 완전폐지를 위한 촛불문화제 (0) |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