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영역

‘나, 함께 산다’ 시설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의 이야기(2018, 오월의봄)

뻬뻬로 2018. 7. 14. 16:37

함께 산다’ 시설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의 이야기(2018, 오월의봄)가 출간되었습니다. ‘함께 산다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탈시설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하고 있는 이상분·유정우김범순신경수최영은김진석홍윤주정하상김은정남수진이종강 11명의 이야기입니다. 2016년 6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서중원 작가가 만나 보고 들은 사람들의 삶이 소중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고 싶다고 말한 적 없었지만 어느 날부터인가 내 몸이 있었던 곳층이 다르면 어디에 누가 사는지 알 수가 없는 곳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좋았어도 언젠가는 나갈 거라고 생각했던 곳이 인터뷰이 11명이 살아낸 시설이었습니다시설인권실태조사로 인사를 주고받던 때시설직원의 자립할 의사가 있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시설 밖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는 정보를 접한 그 찰나… 이들은 시설 밖 세상으로 나오기로 마음 먹었습니다그 계기는 무엇을 더할 것도 없이 한 마디 말로 충분합니다. “너라면 안 그러겠어?(김은정)”  

그렇다면 지역사회는 어떨까요사람들이랑 왕래를 안 하면 여전히 고립되는 곳(김범순), 부족한 활동지원시간으로 힘들었던 곳(최영은입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이들은 지역사회와 다시 마주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내가 내 의지대로 계획을 갖고내 공간에 사람들을 초대하는 일은 내가 나로서 존재할 때에만 가능하니까요하지만 오히려 이들을 다시’ 마주하고 있지 않는 것은 사회가 아닐까요장애가 있는 시민이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보지 않는 사회, ‘그래서 시설이라는 말이 공전하는 사회는 선한 얼굴일지 몰라도 그 눈은 사람을 향해 있지 않습니다.  

이 인터뷰에 담긴 사람들의 삶에는 한국의 장애인수용시설의 역사그리고 장애가 있는 시민을 대하는 정부와 사회의 태도가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그리고 존재함으로 묻습니다나는 이미 함께 살고 있다고당신과 이 사회는 나와 함께 살 준비를 대체 언제 마칠 수 있냐고 말입니다부디 이 책을 읽는 이들의 응답이 곳곳에서 이어지길 바랍니다그 응답이 바로 이 책이 세상 밖으로 나온 이유입니다.

고맙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출판사 오월의봄의 보도자료를 첨부합니다.


책 「나, 함께 산다」 구매링크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linkClass=&barcode=9791187373384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002533126&start=pnaver_02
yes24: http://www.yes24.com/24/goods/61979798?


책 「나, 함께 산다」 기부하기 

- 기부해주신 책은 구매가 어려운 분들과 이 책을 꼭 읽어야 하는 분들께 전달하려 합니다. 
- 배송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5층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 문의: 02-794-0395 / footactar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