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영역

UNCRPD NGO연대, 정부의 장애인권리협약 이행 어떻게 평가하나?

뻬뻬로 2019. 10. 23. 17:01

UNCRPD NGO연대정부의 장애인권리협약 이행 어떻게 평가하나?

- 2019. 10. 28. () 14시 이룸센터(이룸홀)에서 공청회 가져,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몬티안분탄 초청하여 NGO연대 의견 전달 -

UNCRPD(유엔장애인권리협약) NGO연대(이하, NGO연대)는 오는 10월 28(),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지하1)에서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민간보고서 공청회를 개최한다.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국회의원오제세 국회의원김상희 국회의원기동민 국회의원자유한국당 김승희 국회의원이은권 국회의원정의당 이정미 국회의원민주평화당 김경진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UNCRPD NGO연대 고문단과 국가인권위원회, NGO연대가 공동주최하고 한국장애인연맹(DPI)가 주관보건복지부와 외교부가 후원하는 이번 공청회는 NGO연대가 작성한 장애인권리협약 민간보고서 초안 공유하고 장애계학계법률가 그룹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이다. NGO연대는 유엔장애인권리위원 한국보고관인 몬티안분탄 위원도 초청하여 정부의 1차 최종견해 이행 여부를 전달하고민간보고서 완성 과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NGO연대의 이번 민간보고서 초안은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에 제출된 정부의 제23차 병합 국가보고서의 문제점을 짚고새로운 장애이슈를 수렴해 대안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특히 장애등급제 폐지 이후의 시설장애인의 탈시설과 자립지원 방안장애아동과 장애여성에 대한 정책의 부제장애정책의 관점을의료적 관점에서사회환경적 관점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등을 촉구하고민간보고서 초안을 5개 부문으로 구분해 각 부문에 담긴 장애이슈를 상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5대 부문의 주제는 ① CRPD 당사국의 일반의무와 장애인당사자의 건강권② 장애아동의 권리와 장애인당사자의 통합교육 및 소득보장을 포괄한 접근 권리③ 장애분리통계의 필요성과 장애인식개선을 통한 장애인 고용 환경 보장 강화④ 정신적 장애인의 학대 방지를 위한 사법 접근성과 법적 권리 보장⑤ 장애여성 등 장애인당사자의 사회 참여와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 자립생활 보장 강화 등 유엔장애인권리협약 30여 조항에 대해 총 90개의 장애이슈가 발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공청회에는 몬티안분탄 위원과 한국 최초 장애여성 유엔장애인권리위원인 김미연 위원을 포함해 이상민 국회의원과 오제세 국회의원이 참여하며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김광환 상임대표한국장애인연맹(DPI) 황광식 회장 등 장애인단체 대표와 국가인권위원회 정문자 상임위원, 27개 NGO연대 소속 장애인단체의 활동가 등 150여명이 함께할 예정이다.

 

다음 날인 10월 29()에는 NGO연대 보고서총괄위원 30여 명이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 모여주요 장애이슈들이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최종견해에 반영될 수 있도록 몬티안분탄 위원에게 민간보고서 초안의 주요 이슈들을 심도 있게 전달할 것이다.

 

한편 NGO연대는 이번 공청회에 앞서 국회의사당 앞에서 NGO연대 소속 및 장애인당사자 활동가 30여 명이 모여 정부의 선택의정서 비준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장애인사회연구소장애인인권센터정신장애인권연대한국근육장애인협회한국농아인협회한국산재장애인협회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한국신장장애인협회한국여성장애인연합한국자폐인사랑협회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한국장애인부모회한국장애인연맹한국장애인인권포럼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한국장애인재활협회한국장애인중심기업협회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한국접근가능한관광네트워크한국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한국지체장애인협회한국척수장애인협회해냄복지회

2019. 10. 23.

UNCRPD NGO연대



  한국장애인연맹(DPI) 국제협력국

Disabled Peoples' International Korea|International Cooperation


  t  +82 457 0427|f +82 2 458 0429 

  a 서울시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405호